영화 ‘기생충’은 너무 유명해서 따로 소개가 필요 없다. 반지하에 사는 백수 가족 기택네가 가족사기로 글로벌 IT기업 CEO인 박사장 집에 들어갔다가 겪는 일을 그린 영화다.
2019년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2020년 아카데미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국제장편영화상 등 국내외 많은 상을 수상했고 관객들과 비평가에게 많은 호평을 받았다. 양극화와 빈부격차라는 세계적 보편적 주제를 음모와 반전, 살인 등, 매우 강렬하고 흥미 있는 스토리로 전개한다.
배우들의 연기도 뛰어나지만, 은유와 상징이 가득한 등장인물의 말과 행동에는 ‘봉테일’(봉준호 감독의 별명)다운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섬세한 관찰과 깊은 이해가 숨어있다.
‘기생충’은 관객을 불편하게 만드는 영화이다. 빠른 전개와 흥미 있는 스토리로 인해 눈을 떼기 어렵지만 시종일관 불편하고 찝찝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이미 모두가 잘 알고 있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그러나 해결할 수 없는 자본주의 사회의 문제들이 너무나 사실적으로 그려져 있기 때문이다. 관객들은 대충 덮고 외면해왔던 현실을 다시 들춰보는 고통을 겪게 된다. 기택의 딸 기정의 대사처럼 “검은 상자(판도라의 상자)가 열리는” 것이다.
왕, 귀족같은 계급은 없어진 지 오래지만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부가 계층을 나눈다. 기택의 가족으로 대표되는 가난한 사람들은 박사장과 같은 부자들에게 의존해서 살아가고 이는 영화 제목처럼 기생충에 비유된다. 영화에서 빈부격차는 수직적 구도로 시각화된다. 매우 높은 언덕의 박사장 저택과 끝없이 아래로 내려와야 만나는 저지대의 기택네 반지하집의 대조적으로 배치된다. 박사장 집은 눈부신 햇빛이 가득하고 폭우와 같은 재해에도 별 피해가 없는 멋진 집이고, 기택의 집은 볕이 잘 들지 않고 습기차고 벌레가 많으며 폭우에 모든 물건이 침수되는 집이다.
자본주의에서 계층은 보이지 않는 선에 의해 나눠진다. 부자인 박사장은 기택에게 선을 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자신의 영역이 침범당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하위계층을 향해 선을 긋는 것이다. 자신의 소유, 자신의 위치를 지키기 위한 자기방어를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이 선은 부자와 빈자 뿐 아니라 빈자와 극빈자 간에도 존재한다. 영화에서 빈자를 대표하는 기택네는 극빈자 근세와 문광 부부의 부탁을 매정하게 거절하고 기택의 아내 충숙은 지하실에서 올라오는 문광을 발로 차 계단 아래로 굴러 떨어져 죽게 만든다.
선을 긋는 것은 부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자기보다 낮은 계층의 사람들을 자기 삶에서 밀어내려는 우리 모두의 문제가 된다.
영화에서는 계층 간의 문제를 보여주기 위해 ‘선’을 넘는 상황설정으로 등장인물 간의 갈등을 증폭시키는데 여기에 사용된 중요한 소재가 냄새다. 기택네와 근세의 몸에 배인 지하의 습한 냄새, 찌든 냄새 등이 박사장이 그어 놓은 선을 넘어오고 이에 대한 박사장의 경멸과 무시가 기택의 잠재된 분노를 일으키면서 스토리는 파국으로 치닫는다.
그러나 우리는 자본주의 사회가 하류층의 일방적 ‘기생’이 아니라, 서로 함께 사는 ‘상생’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언뜻 보면 기택네가 박사장 가족에게 의존하며 사는 듯 하지만, 문광이 갑자기 해고당한 후 박사장의 아내는 쌓여가는 집안 일로 인해 어쩔 줄 몰라 한다. 박사장네도 남의 도움이 없이는 정상적으로 유지되기 힘들기 때문이다.
레위기에서 “너희 땅의 곡물을 벨 때에 밭 모퉁이까지 다 베지 말며 떨어진 것을 줍지 말고 그것을 가난한 자와 거류민을 위하여 남겨두라 나는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이니라(레23:22)” 라는 말씀은 우리의 사유재산 안에 하나님께서 사회적 약자를 위해 정해 놓으신 부분이 포함되어 있음을 가르쳐준다. 우리는 나만의 영역이라고 선을 긋지만 하나님이 보시기에는 그 선 안에도 다른 사람들의 영역이 남아있다. 잠언에서 “가난한 사람을 학대하는 자는 그를 지으신 이를 멸시하는 자요 궁핍한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 자는 주를 공경하는 자니라(잠14:31)”라는 말씀처럼 우리는 사회적 약자를 대할 때 하나님을 기억해야 한다.
이 영화의 가장 큰 탁월성은, 비슷한 류의 다른 영화들과 달리 자본주의사회의 문제를 특정 계층때문이라는 식으로 처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기택네 가족은 박사장의 집에 들어가 일하기 위해 거짓말, 위조, 음모와 사기 등을 저지르고 기존의 운전기사나 집사를 거짓으로 누명 씌워 쫓아낸다. 박사장네가 캠프를 떠난 빈 집에서 파티를 벌이고 물건을 파손하지만 도덕적 고민이나 죄책감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문광은 빚쟁이들을 피해 지하실에 숨어 사는 남편 근세를 위해 음식을 훔치고 때로는 남편과 함께 빈 박사장 집에서 음악을 틀고 춤을 추며 자기 집처럼 즐긴다. 잠든 박사장 아내를 무례하게 손뼉으로 깨우거나 외부인에게 마치 자신이 집주인인 것처럼 행세하고 집자랑을 하면서 은근히 박사장 가족을 무시하기도 한다. 불리한 상황에선 충숙을 언니라고 부르다가 상황이 유리해지자 돌변해서 기택네 가족을 무시하고 욕하며 경멸한다.
박사장 부부는 언뜻 예의 바르고 세련되고 순진하며 착해보이기도 하지만 충숙의 인상적인 대사처럼 사실 “부자니까 착한거다”. 아내 연교는 기우에게 과외비 일부를 빼고 주면서 이전 과외비보다 더 넣었다고 속이고, 박사장은 남이 자신의 선을 넘는 것은 불쾌해 하면서 자기 아들의 생일파티를 위해선 업무의 연장이라며 기택에게 역할을 강요한다. 근세의 냄새가 자신이 그은 선을 넘었을 때의 표정은 그가 속으로 사회적 약자들을 얼마나 경멸하고 무시해왔는가를 보여준다.
‘기생충’엔 선인도 악인도 없다. 단지 자기를 위해 살고, 자기가 손해볼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과도하게 방어하거나 공격하며, 자기 중심적인 도덕관념으로 행동하는 우리 모두의 모습이 담겨있을 뿐이다.
등장인물들은 공통적으로 자기 가족만은 끔찍하게 사랑하는데 이는 가족이 자기의 확대된 형태이기 때문이다. 결국 가족 사랑은 자기 사랑인 것이다.
그러나 언제나 문제의 근본은 시스템보다 그 속의 사람들에게 있다. 자본주의 체제의 문제도 결국 인간의 문제, 즉 인간의 자기중심성이 근본 원인이다.
그렇기 때문에 혹시 혁명이 일어나 빈자가 부자가 되고 부자가 빈자가 되어도, 자본주의가 사회주의나 심지어 공산주의가 되어도 문제는 반복될 수 밖에 없다. 인간의 자기중심성은 기독교의 원죄이다. 선악과를 따먹은 것은 하나님에게 순종하기를 거부하는 자기중심성의 원죄가 표현된 것이다.
사도 바울은 “아담 안에서 모든 사람이 죽은 것 같이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사람이 삶을 얻으리라(고전15:22)”라는 말씀으로 우리가 원죄를 극복하기 위해선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그 분의 말씀에 순종해야 함을 가르쳐준다. 예수님은 우리에게 “누구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를 것이니라(마16:24)”라고 말씀하셨다. 자기방어, 자기중심, 자기애에서 벗어나 자기를 희생하고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할 때에 비로소 우리 사회의 문제는 근본적으로 해결될 것이다.
영화 기생충은 우리가 살고 있는 익숙한 사회를 낯설게 만든다. 당연하다고 생각해온 것들을 다시한번 돌아보게 하며 이웃과의 관계에 대해 그리고 나 자신의 부족함에 대해 생각하게 만드는 좋은 영화이다.
이창일 리뷰어
Comments